10월, 2025의 게시물 표시

토큰 표준(ERC-20 등) — 토큰은 어떻게 규격화되는가?

  서두 — 표준의 필요성 블록체인 생태계에는 수많은 토큰이 공존한다. 각기 다른 프로젝트의 토큰이 지갑에 안전하게 보관되고, 거래소와 DApp에서 문제없이 작동하려면 공통된 인터페이스가 필수다. 토큰 표준은 호환성, 개발 효율성, 보안 관행을 제공해 생태계 확장을 돕는다. 표준 덕분에 월렛 개발자·거래소·스마트컨트랙트 개발자가 동일한 규칙으로 토큰을 처리할 수 있다. 주요 토큰 표준 및 비교 ERC-20 (이더리움): 대체 가능(fungible) 토큰 표준. 대부분의 스테이블코인, 유틸리티 토큰, 거버넌스 토큰(일부 제외)이 채택. ERC-20은 잔액·전송·승인 관련 기본 함수와 이벤트를 정의해 모든 서비스가 토큰 흐름을 신뢰성 있게 추적할 수 있게 한다. ERC-721: 비대체(non-fungible) 표준. 각 토큰에 고유 ID가 있어 디지털 아트, 소유권 증명, 게임 아이템 등에 적합. ERC-721은 소유권 이전 로직과 토큰별 메타데이터 표준을 정의한다. ERC-1155: 멀티토큰 표준. 동일 계약에서 대체 가능·비대체 토큰을 동시에 다룰 수 있어 게임·마켓플레이스에서 가스비·스토리지 효율이 높다. 배치 전송(batch transfer)을 지원한다. BEP-20: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BSC) 표준. ERC-20과 유사하지만 BSC 환경 및 생태계 툴과의 호환성에 맞춰 사용된다. ERC-20의 내부 동작과 실무 이해 핵심 함수와 이벤트는 이미 설명한 대로지만, 실제로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몇 가지 시나리오로 보면 이해하기 쉽다. 일반 전송: Alice가 Bob에게 transfer()를 호출하면 블록체인에 Transfer 이벤트가 남고, 월렛은 이를 읽어 잔액을 업데이트한다. 허가와 대리이체: Alice가 DEX에 토큰을 예치하려면 먼저 approve(DEX, amount)를 호출해 DEX가 transferFrom으로 토큰을 이동시키도록 허용해야 한다. 이 패턴 때문에 approve/transferFrom 로직은 자동화된 거래에서 매우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