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스타트업으로: 기술 창업과 투자 유치,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할까?]
[연구실에서 스타트업으로: 기술 창업과 투자 유치,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할까?] “좋은 기술만 있으면 투자받을 수 있지 않을까?” 많은 연구자와 대학원생이 창업을 고민할 때 가장 먼저 떠올리는 생각입니다. 하지만 현실은 다릅니다. 투자자와 고객은 ‘기술 자체’보다 ‘해결할 수 있는 문제’에 더 관심이 많습니다. 기술 기반 창업이란, 보통 대학, 연구소, 기업에서 개발한 기술이나 소재를 바탕으로 시장 문제를 해결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고, 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창업을 말합니다. 흔히 딥테크 스타트업(Deep-tech startup)이라고도 부릅니다. ✔️ Step 1: 기술의 시장성부터 검토하자 “이 기술이 정말 필요한가?” 아무리 뛰어난 기술이라도 고객이 느끼는 ‘절박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의미 없습니다. 따라서 기술창업의 첫 단추는, 내 기술이 어떤 시장 문제를 해결하는가 에 대한 명확한 정의입니다. 타깃 시장의 규모는? 기존의 경쟁 제품은 무엇이고, 내 기술은 어떤 차별성이 있는가? 고객은 누구이며, 어떤 페인포인트(Pain Point)를 갖고 있는가? ☑ 예시: 대학원에서 개발한 수질 내 중금속 검출 센서 → 단순히 정밀한 센서가 아니라, 현장 적용 가능한 키트화 를 통해 공장이나 하천 현장에서 실시간 감지가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해야 함. ✔️ Step 2: ‘기술’보다 ‘문제 해결’ 중심의 IR 피치덱 구성 투자를 받기 위해선 IR 피치덱 (사업 설명 자료)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때 흔히 하는 실수가 기술 스펙이나 논문 중심으로 구성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투자자는 물어봅니다: “이걸 누가 사죠?” “시장 진입 전략은?” “이 팀이 이걸 왜 해낼 수 있죠?” IR 피치덱은 다음과 같은 흐름으로 구성하면 좋습니다: Problem – 시장에서의 해결이 필요한 구체적 문제 제시 Solution – 우리 기술 기반의 구체적 해결책 Market – 시...